본문 바로가기

성찰하는 삶

181_固以樹德 直以立身 空以體道 貞以立志 고이수덕 직이립신 공이체도 정이립지

728x90

固以樹德 直以立身 空以體道 貞以立志

 

고이수덕 직이립신 공이체도 정이립지

 

단단함으로써 덕을 세우고, 곧음으로써 몸을 세우고, 비움으로써 도를 체득하고, 곧음으로써 뜻을 세운다.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_5_양죽기養竹記_2)

 

 

송나라의 시인이며 최고의 문장가였던 소동파(蘇東坡 1037~1101)녹균헌 綠筠軒이라는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우리가 어제 읽은 양주학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시 전문은 이렇습니다.

 

밥 먹는 데 고기야 없어도 되지만

사는 곳에 대나무 없으면 안 되지.

고기 없으면 사람이 야윌 뿐이지만

대나무 없으면 사람을 속되게 하네.

사람이 야위면 살찌면 그만이지만

선비가 속되면 고칠 길이 없다네.

옆 사람이 이 말을 비웃으며

고상한 듯하면서도 어리석다 하네.

만약 대나무를 대하면서 고기도 먹을 수 있다면

세상에 양주학이라는 말이 어째서 생겼겠는가(世間那有揚州鶴 세간나유양주학)?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84089&cid=40942&categoryId=32895

 

녹균헌

중국 송나라의 시인 소동파가 지은 시이다. 可使食無肉(가사식무육) 不可居無竹(불가거무죽) 無肉令人瘦(무육영인수) 無竹令人俗(무죽영인속) 人瘦尙可肥(인수상가비) 士俗不可醫(사속불가의)

terms.naver.com

 

고고함의 상징인 대나무를 속됨의 상징인 고기와 대비시키면서 양주학이라는 표현을 가져 온 것입니다. 여기선 소동파는 이 두 가지를 한 번에 다 가지려는 것은 욕심으로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를 포기할 수 밖에 없다는 의미로 양주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어제 우리가 읽은 양주학이 인간의 끝없는 욕심을 풍자적으로 이야기해 준 것이라면, 소동파의 양주학은 선비는 고고한 삶을 살 것인가 아니면 속된 삶을 살 것인가의 양자택일의 문제로 맥락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죠. 이 둘은 서로 모순관계라 결코 모두를 소유할 수는 없는 것이죠. (역시 의미가 미묘하게 달라지죠.)

 

그런데 소동파는 왜 사는 곳에 반드시 대나무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것일까요? 대나무는 매란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四君子) 가운데 하나입니다. 일년 내내 푸르고 또 곧게 자라기 때문에 선비들이 늘 보면서 본받아야 할 식물로 여겨져 왔죠.

 

오늘은 옛 현인들이 대나무를 어떻게 보았는지를 잘 보여주는 글이 있어 함께 읽어보려고 합니다.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에 실려 있는 중국 당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 772~846; 자字는 낙천 樂天)養竹記(양죽기: 대나무를 기른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대나무는 현자(賢者)를 닮았다. 어째서인가?

대나무는 뿌리는 단단하니 단단함으로써 덕을 세운다(竹本固 固以樹德 죽본고 고이수덕)

군자(君子)는 그 근본을 보면 확고히 서서 뽑히지 않을 것을 생각한다.

대나무는 성질이 곧으니 곧음으로써 자신을 세운다(竹性直 直以立身 죽성직 직이립신).

군자는 그 성질을 보면 가운데에 서서 기울지 않을 것을 생각한다.

대나무는 속이 비었으니 비어 있음으로써 도를 체득한다(竹心空 空以體道 죽심공 공이체도).

군자는 그 속을 보면 곧 마음을 비우고 겸허히 받아들일 방법을 생각한다.

대나무는 마디가 곧아서 곧음으로써 뜻을 세운다(竹節貞 貞以立志 죽절정 정이립지).

군자는 그 절개를 보면 곧 행실을 갈고 닦아 고락에서 한결같기를 생각한다.

이와 같기 때문에 군자들은 대나무를 많이 심어 정원수로 삼고 있는 것이다.

https://m.cyberseodang.or.kr/verbaltrans/classic_view.asp?idx=24881&listLevel=2

 

한문독해첩경

※ 《고문진보후집(古文眞寶後集)》 검색 및 비교의 목적으로 원문(原文)만 제공됩니다. 우선 기초한문·사서 등 기본서부터 시작하여 각종 학습정보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

m.cyberseodang.or.kr

 

那 나(어찌하여; 어느)

本 본(근본; 뿌리)

固 고(굳다, 단단하다)

樹 수(나무; 심다; 세우다)

節 절(마디; 요약하다)

貞 정(곧다; 마음이 곧바르다)

 

대나무처럼 몸과 뜻, 덕과 도를 세우며 한 해를 잘 마무리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