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와 삶

(99)
142_Who never ate his bread in sorrow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연거푸 이별에 대한 시를 읽느라 힘드셨죠! 오늘은 위로 받으시라고 독일 낭만주의의 거장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의 시를 가져왔습니다. “눈물에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한 자” 입니다. Who never ate his bread in sorrow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Who never ate his bread in sorrow, Who never spent the darksome hours Weeping and watching for the morrow, He knows ye not, ye gloomy Powers. 눈물에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하고, 근심에 찬 여러 밤을 울면서 지새워 보지 못한 사람은 그대들을 알지 못하리,..
141_Bread and Music by Conrad Aiken Day_091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을 시는 콘라드 에이킨(Conrad Aiken, 1889~1973)의 “Bread and Music 빵과 음악”입니다. 아마 프레베르의 시에서 헤어진 연인의 뒷 이야기 정도로 이해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이렇게 시에서 시로 헤어진 연인의 삶을 상상해 보죠.^^ Bread and Music by Conrad Aiken Music I heard with you was more than music, And bread I broke with you was more than bread; Now that I am without you, all is desolate; All that was once so beautiful is dead. Your hands once touched th..
140_Déjeuner du matin(Breakfast) by Jacques Prevert 지금까지 달콤한 사랑의 노래를 들었으니 오늘은 분위기가 많이 다른 시를 읽어볼게요. 번역시입니다. (이번 주에는 번역시를 몇 편 더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고엽을 쓴 프랑스 시인, 프레베르(Jacques Prevert, 1900~1977)의 시 가운데 어제 읽은 브라우닝의 시 “아침에 헤어지다”와는 굉장히 대조적인 분위기의 매우 단순한 시가 하나 있습니다. “Déjeuner du matin 아침식사”라는 시입니다. 이 시에서는 아침 식사 후에 떠나는 남자의 모습을 노래하고 있는데… 우선 영상시로 먼저 보시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4YoBuJCbfo Breakfast - Jacques Prevert He poured the coffee Into the cup H..
139_Parting at Morning by Robert Browning 어제 읽은 브라우닝의 시 가운데 마지막 두 구절 “하느님은 하늘에—모든 것이 평화롭다 God's in His heaven—All's right with the world!”라는 구절을 읽을 때, 사실 프랑스 시인 쟈끄 프레베르(Jaques Prevert)의 “주기도문”이라는 시가 떠올랐습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 그냥 거기 계시옵소서 / 우리는 이대로 땅 위에 있으리이다 / 이 땅은 때로 너무도 아름답지요…” 프레베르의 시와 함께 놓고 보면 (그럴 의도는 없었겠지만) 브라우닝의 시 구절도 굉장히 도발적으로 읽힐 여지가 있죠. “하느님은 하늘에 계시니 모든 것이 평화롭다.” 프레베르는 우리가 너무 잘 아는 이브 몽땅(Yves Montand)의 “고엽”(Les feuilles mortes)을 쓴 ..
138_The year's at the spring by Robert Browning 오늘 읽을 시는 로버트 브라우닝의 극시 「피파가 지나간다」(Pippa Passes,1841)에 나오는 “The Year’s at the spring 봄의 노래”라는 시입니다. The year's at the spring by Robert Browning The year's at the spring, And day's at the morn; Morning's at seven; The hill-side's dew-pearled; The lark's on the wing; The snail's on the thorn; God's in His heaven— All's right with the world! 봄의 노래 - 로버트 브라우닝 한 해의 봄 하루 중 아침 아침 7시 언덕에는 진주이슬 맺히고 종달새는 날고..
137_A Favorite Recipe by Helen Steiner Rice 오늘은 천상의 요리 비법을 소개해 드릴께요. 휴일이니 한 번 따라 해 보세요.^^ A Favorite Recipe by Helen Steiner Rice(1900~1981) Take a cup of kindness, Mix it well with love, Add a lot of patience, And faith in God above, Sprinkle very generously With joy and thanks and cheer And you’ll have lots of ‘angel food’ To feast on all the year. 내가 좋아하는 요리법 - 헬렌 스타이너 라이스 한 잔의 친절에 사랑을 부어 잘 섞고 하느님에 대한 믿음과 많은 인내를 첨가하고 기쁨과 감사와 격려를 넉넉하게 뿌..
136_To ____ by George Gordon Lord Byron 영국 낭만주의 3대 시인가운데 이제 바이런(George Gordon Lord Byron, 1788~1824)만 남았네요. 그래서 바이런의 시를 하나 가져왔습니다. 제목은 “To _____ 그 누구에게”입니다. TO —— By George Gordon Lord Byron 1. But once I dared to lift my eyes— ⁠To lift my eyes to thee; And since that day, beneath the skies, ⁠No other sight they see. 2. In vain sleep shuts them in the night— ⁠The night grows day to me; Presenting idly to my sight ⁠What still a dream m..
135_Love’s Philosophy by Percy Bysshe Shelley 우리가 어제 읽은 시에 대해서는 아주 신랄한 비평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위키(Wikipedia)에 보면 레온 위니아스키(Leon Winiarski)라는 폴란드의 비평가는(이 분을 찾아보니 사회학자라는 정보도 있어서 정확하게 누군지 모르겠습니다) “아솔랜도”를 리뷰하며, “80 노인이 무덤으로 들어가기 직전 인생에서 가장 위대한 행복이 ‘소녀에게 입맞추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 것에 대해서, 우리는 웃을 수 밖에 없다”라고 혹평을 했다고 하네요. https://en.wikipedia.org/wiki/Summum_Bonum_(poem) Summum Bonum (poem) - Wikipedia Asolando by Robert Browning "Summum Bonum" is a poem by Robert Br..